사니양 연구실 - 테일즈샵의 실험

이미지
인간이 아닌 히로인, 많은 서브 캐릭터, 지금까지의 테일즈샵에선 볼 수 없었던 성적 표현 랜덤채팅의 그녀 쇼크 이후로 나온 신작이기에 더욱 파격적으로 느껴지는 실험작 재미는 있는데 아쉬운 느낌이 매우 큰 작품... 더 좋게 만들 수 있었을 텐데 서브 콘텐츠에 너무 힘을 빼서 기회를 놓친 거 같다는 생각이 계속 든다. 최근의 테일즈샵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플레이 타임을 늘리기 위한 미니게임이 있다. 클릭하고 기다리고 클릭하고 기다리고... 진짜 시간만 녹이면 된다. 단순히 메인만 즐기는 목적이면 이 부분은 튜토리얼 이후엔 건들일 필요도 없다. 하지만 완전히 끝낼 목적이면 아무 보람 없는 클릭의 시간을 견뎌야 한다. 시간과 정신의 클릭 작업을 끝내면 다양한 서브 캐릭터들의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다. 이 서브 캐릭터들은 메인 히로인들 보다 '수인'적 어필이 더 강한 편이라서 이쪽 취향인 사람들에겐 제법 플러스 요소일 수 있고 짧고 가벼운 스토리여서 피로감이 적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자기만의 스탠딩 일러스트 1장과 대사 더빙을 갖추고 있는 서브 캐릭터들... 나쁘진 않아... 근데 이거 만들 여력을 메인 히로인들에게 사용했으면 더 멋진 작품이 될 수 있었다고 본다. 사니양 연구실의 플레이어들이 원한 건 더 많은 이벤트 CG나 동 제작사의 '그녀의 세계'처럼 히로인 3명의 서브 스토리 같은 게 아니었을까?  이번에 최초로 도입된 테일즈샵의 H씬! 그냥 쓰레기임... 좋게 포장할 방법이 없다. '히로인 풀보이스'를 강점으로 내세우던 제작사가 노 보이스 이벤트를 넣고 이걸 거창하게 홍보해서 파는 건 명백하게 기만임 성우쪽에서 거절하면 어쩔 수 없다는 의견이 있으나 이미 세상에는 성적인 연기의 녹음을 받아주는 성우도 있다는 걸 모두가 알고 있지 않은가... 보이스 문제를 제쳐놔도 씬 자체가 좀 조잡하다. 억지로 넣었나 싶을정도로 애초에 테일즈샵은 섹스는 커녕 옛 모바일 마켓들의 막장 규제도 준수하면서 짬밥 쌓고 잘 만들었던 제작...

심포닉 레인 20주년 패키지판

이미지
나는 코가도에 대해 잘 모른다. 이 회사의 게임 중 직접 플레이한 건 덤핑으로 싸게 구입한 '스타 멜로디 유메미 드리머'가 유일하다. 그 유메미 드리머가 좋아서 이 게임을 구입했는가? No 유메미 드리머는 매우 찝찝하고 누굴 위한 게임인지 모를 괴작이었다. 그렇기에 나에게 있어 코가도는 그렇게 인상이 좋은 게임사가 아니다... 그럼에도 구입한 이유는 한국 유통사인 '메이플라워 엔터테인먼트'의 행보가 매우 놀라웠기에 존경심마저 들어서 응원하는 차원에서 + '심포닉 레인'은 평가가 굉장히 좋은 거 같기에 구입 몽현 Re:Master → 스타 멜로디 유메미 드리머 → 트리스티아 레거시&리스토어 → 심포닉 레인 메이플라워에서 번역 출시한 코가도의 게임들 하나같이 비용 회수가 가능한가 싶은 게임들인데 신기할 정도로 계속 내준다. 콘솔 게임들의 번역판 출시가 드물던 시절이라면 '한국어 지원'을 메리트로 내세워서 팔아볼 수 있겠지만 대작 게임들의 번역 출시가 기본이 된 시대에선 이런 비주류 게임들이 설 자리가 없다. 특히 텍스트량이 무시무시한 노벨 게임들은 진짜 대박급으로 팔릴 확신이 없으면 한국어화 출시를 기대하기 정말 어려운데 이런 상황에서 메이플라워의 행보는 정말 경이롭지 않을 수가 없다. 시작부터 여자친구가 있다니 예사롭지 않네 이거 게임 카드와 명예시민증?이라는 게 들어있다. 심포닉 레인의 게임 카드는 글로벌 원빌드 사양인 거 같다. 한국에서 더 이상 실물 패키지를 구하는 게 불가능해질 경우 그냥 일본판을 직구하면 된다.

도나도나 같이 나쁜 짓을 하자 - 화려한 악행 후의 허무함

이미지
정식으로 한국어 번역된 게임 중 제일 부도덕한 게임이지 않을까 올 컴플리트 플레이 같은 건 안하고 그냥 평범하게 키쿠치요 엔딩만 봤다. 재미는 있었는데 더 할 생각은 안 듦 DLsite에서 아주 자신만만했던 한글화 예전에 냈던 LOOPERS는 업계 사정인지 뭔지 그래픽 관련 부분은 건들지도 않고 본편 텍스트만 번역한 수준이었는데 도나도나는 사소한 부분까지 한국어로 바꿀만하다 싶은 곳은 다 번역되어 있다. 배경 그래픽, 오프닝 영상, 엔딩 크레딧 전부 다 해줌 근데 생각해보니 오프닝 영상에 자막조차 안 넣어주던 LOOPERS가 좀 너무했던 거 같다. 히토카리. 게임의 전투 파트 단순하고 크게 어려운 부분이 없다. 캐릭터들의 전투 애니메이션 그래픽 감상이 주 목적인 수준 각 캐릭터들의 개성을 살리면서 호쾌한 움직임을 보여줘서 눈이 즐겁긴 하나 그 탓에 가짓수가 한정되어 있고 반복되는 전투 애니메이션을 계속 다 보고 있으면 진행 템포가 너무 늘어져서 결국 배속 버튼을 누르게 된다. 정성과 노력이 보이는 부분인데 힘을 너무 과하게 준 거 같아서 아깝게 느껴짐 하루우리. 게임의 경영 파트 전투는 결국 레벨링, 스펙업으로 바로 끝이지만 경영 부분은 스펙만 올린다고 끝이 아니었다.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하고 약간의 신중함이 요구됨 근데 나중에는 돈 남아돌아서 그냥 대충함 에로 관련으로는 메인 히로인들보다 여기서 활약하는 유니크 인재들이 더 끌렸음 제작사 성향을 생각하면 순애보단 능욕이 핵심인데 메인 히로인들 구르는 거 보기는 싫은데 핵심 요소를 즐기고 싶으면 여기서 유니크 인재들 굴리면서 맛보는 느낌 '사악한 메가코프를 부수기 위해 인신매매 강도질을 하는 이야기' 이 정신나간 전제를 받아들인 사람들만이 이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부도덕함을 즐길 수 있어야 함 우리 갱놈들이 벌이는 난장판 끝에는 뭐가 있을지 기대하는 맛으로 계속 플레이했는데... 끝이 너무 싱거웠다... 싱거운 마무리 때문에 게임에 대한 흥미가 식어버림 도나도나는 '포르노'로...

도나도나 한국어판 출시 - 결제망이 박살난 DLsite에서 게임 구입하기

이미지
  도나도나 같이 나쁜 짓을 하자 DLsite에서 야심차게 출시한 '도나도나 같이 나쁜 짓을 하자' 한국어판 예전에 출시한 LOOPERS 한국어판보다 DLsite의 성격에 어울리면서 여러모로 화제성이 높은 게임 선정이다. 참 기념비적인 한국어판 출시니까 한 번 사볼까 하고 DLsite를 처음 들어가는 사람들을 맞이해주는 건 'VISA' 와 'Mastercard' 를 사용할 수 없다 는 정신 나간 결제 시스템의 벽 지갑에 'JCB' 브랜드 카드가 한 장이라도 있다면 그걸 쓰면 끝이지만 없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 양대 브랜드를 미지원 한다는 건 사실상 해외 장사를 포기한 수준인데 당연히 DLsite에서 의도한 건 아니고 카드 브랜드들의 어이없는 갑질로 인해 끊긴 거다. 아무튼 JCB가 없다면 DLsite에서 대체 수단으로 안내하고 있는 기프트 카드 구입 만이 유일한 방법이다. 포인트 구입 페이지 DL 기프트카드 구입의 절차 1. 포인트 구입 페이지에 들어간다 2. 다른 메뉴들은 무시하고 'DLsite 포인트 서비스 파트너' 항목만 본다. 3. 안내하고 있는 사이트로 접속한다. For Books 4. 2024.09.14 기준 기프트카드 판매 사이트는 'For Books'다. 이전에는 vivionBLUE, DLPay라는 곳에서 판매했다. 시간이 지나면 또 판매처가 바뀔 수 있다. 5. For Books의 경우 회원가입을 요구한다. 기프트 카드 코드를 안전히 받을 수 있는 이메일이 필요 6. For Books는 기본적으로 해외 결제 카드들을 전부 지원하고 페이코를 통한 결제도 가능하다. 페이코 사용자면 페이코를 사용하는 걸 추천. 빠르고 환율면에서도 제일 좋음 7. 주소 입력을 요구하는데 실물 배송도 아니니까 정확히 쓸 필요는 없다. 통관번호의 경우 'P'를 포함해서 아무렇게 13자리 채워쓰면 넘어간다. 이메일 주소만 멀쩡하면 쓰면 OK 8. 결제를 완료하면 메일로 기...